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운전자본
- 회계사 파트너
- 재무모델 대회
- 회계사 커리어
- 재무시너지
- 연봉
- 딜소싱
- LBO
- 매입채무
- net debt/ebitda
- 메디트
- 매출채권
- 회계
- 회계사 진로
- 회계사vs세무사
- 딜부서
- 인수금융
- 유기적인결
- 매출시너지
- 금융권
- EBITDA
- 회계법인
- M&A
- #금융업 #금융산업 #자금흐름 #투자업 #사모펀드 #기관투자자 #금융이해하기
- 재고자산
- 상위호환
- 비용시너지
- 회계사 세무사 비교
- 사모펀드
- CAPEX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6)
친절한소나무의 금융이야기

회계사는 기업의 재무제표를 감사하고, 경영 컨설팅을 수행하며, 기업 인수합병(M&A) 실사와 세무 자문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전문직입니다. 높은 연봉과 안정적인 커리어 덕분에 많은 사람들이 회계사를 목표로 공부하지만, 시험 난이도가 높고 준비 기간이 길어 철저한 전략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회계사가 되기 위한 단계별 과정(시험 준비, 합격 후 커리어 패스, 취업 전략) 까지 자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회계사 되는 법, 전체 과정 개요회계사가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5단계를 거쳐야 합니다.1단계: 응시 자격 확인 (상경계열 12학점 이상 이수 필수)대학에서 회계 및 경영 관련 과목을 12학점 이상 이수해야 시험 응시 가능비전공자도 학점은행제, 사이버대학 등을 통해 학점 충족 ..

회계사와 세무사는 모두 재무와 세금을 다루는 전문직이지만, 커리어 패스와 수익 구조에서 차이가 큽니다. 일반적으로 회계사는 대기업, 금융권, 컨설팅, 회계법인 등으로 진출할 수 있는 반면, 세무사는 세무법인 근무 후 개업을 많이 선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회계사와 세무사의 연봉, 업무 차이, 개업 현실, 그리고 ‘회계사가 세무사의 상위호환인가?’라는 논란까지 깊이 있게 다뤄보겠습니다.1. 회계사 vs 세무사, 연봉 및 커리어 차이회계사와 세무사의 연봉 차이는 경력과 근무 형태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신입 연봉 비교회계사 (Big4 회계법인): 6,000만~7,000만 원세무사 (세무법인): 3,500만~5,000만 원세무사의 경우, 대형 세무법인이 존재하지 않고 소규모 사무소가 많아 상대적..

많은 분들이 회계사라는 직업을 안정적이고 고소득이 가능한 전문직으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회계사가 되는 과정부터 연봉 상승의 구조, 업무 강도 등 현실적인 부분까지 고려해 보면 단순히 ‘돈을 많이 버는 직업’이라고 단정 짓기는 어렵습니다. 회계사 연봉이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현실적인 근무 환경은 어떤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신입 회계사의 연봉부터 경력 회계사들의 연봉 수준, 그리고 회계사로서의 커리어 패스까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1. 회계사 연봉, 신입부터 파트너까지 신입 회계사 연봉대형 회계법인(삼일, 삼정, 한영, 안진)의 신입 회계사 연봉은 기본급 약 6,000만 원 수준입니다. 여기에 성과급을 포함하면 최대 7,0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하지만 연봉이 높다고 해서 마냥 좋은 것은 아..

사모펀드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 : 수익률 측면에서 구글Talks 에 올라온 영상 중 수익률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사모펀드 비판 강의 보러가기 사모펀드와 '마법의 콩' 비유금융 세계에서 사모펀드는 투자자들에게 높은 수익을 약속하지만, 그 약속이 실제로 지켜지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있습니다. 투자 은행가이자 재정학 교수인 제프리 C. 훅(Jeffrey C. Hooke) 교수님께서는 구글 강연에서 "사모펀드의 신화"라는 주제로 이를 심도 있게 다루셨습니다. 훅 교수님께서는 고전 동화 ‘잭과 콩나무’의 이야기를 비유로 들어, 사모펀드가 마치 잭이 얻은 ‘마법의 콩’처럼 투자자들에게 마법 같은 수익을 약속한다고 설명하셨습니다. 그러나 잭의 콩이 부를 가져다준 것과 달리, ..

사모펀드 입사 면접 질문 및 답변 최근 몇 년간 사모펀드(PE) 채용은 큰 변화를 겪었습니다. 과거에는 투자은행(IB)이나 경영 컨설팅 등 딜 중심의 산업에서 경력을 쌓은 후, MBA를 마친 뒤 사모펀드로 전환해 애널리스트 대신 어소시에이트로 입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지난 5년간 많은 사모펀드 펀드들이 학사 학위만으로도 애널리스트를 직접 채용하는 추세로 바뀌고 있습니다. 이 말은 곧, 만약 투자은행 입사가 어려운 경우 사모펀드 펀드에도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투자은행(IB) 질문 400개 다운로드사모펀드와 투자은행의 역할은 비슷한 점이 많습니다. 특히 재무 모델링, 재무제표 분석, 마케팅 자료 해석 등의 업무는 양쪽에서 모두 중요합니다. 다만, 사모펀드는 바이사이드(Buy-s..

인수합병(M&A) 시너지 총정리 시너지는 M&A(인수합병)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로, 거래를 통해 창출되는 추가적인 가치를 의미합니다. PE들이 Bolt-on을 하는 가장 핵심적인 포인트인데, PE들이 어떻게 접근하는지 다뤄보려고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시너지인 매출, 비용, 재무 관점에서 좋은 예시와 나쁜 예시를 검토해보겠습니다. 1. 들어가며어떤 기업 매물을 거래할 때, 보통 bidding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기존 주주 A가 X라는 기업을 매각한다고 합시다. 그럼 A는 자문사(골드만삭스, JP모건 등)를 끼고 적당한 잠재 인수자들한테 "우리 X의 지분 100%를 팔고 싶은데, 관심이 있으면 LOI 내봐" 정도로 IM을 들고 탭핑을 하러 다니고, 의향이 있는 곳들이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