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LBO
- 금융권
- 회계사 진로
- 연봉
- 딜부서
- 회계사 커리어
- 유기적인결
- 회계사vs세무사
- CAPEX
- 비용시너지
- 매출채권
- 매입채무
- EBITDA
- 운전자본
- 메디트
- 상위호환
- 회계
- 재고자산
- M&A
- 회계법인
- net debt/ebitda
- 딜소싱
- 재무시너지
- 매출시너지
- 인수금융
- 사모펀드
- #금융업 #금융산업 #자금흐름 #투자업 #사모펀드 #기관투자자 #금융이해하기
- 회계사 세무사 비교
- 재무모델 대회
- 회계사 파트너
- Today
- Total
친절한소나무의 금융이야기
회계법인 딜부서(M&A) 5년 차 회계사의 하루 – 프로젝트 비투입 편 본문
회계법인의 딜부서(Deal Advisory) 는 M&A, 기업 실사(Due Diligence), 가치평가(Valuation), 구조조정(Restructuring) 등의 프로젝트 단위로 운영됩니다.
프로젝트가 Live 상태일 때는 실사 진행, 클라이언트 인터뷰, 보고서 작업 등으로 정신없이 바쁘지만,
비투입 상태일 때는 상대적으로 여유로운 일상을 보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투입 기간이라고 해서 완전히 쉬는 것은 아닙니다.
- 새로운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제안서(Pitch Book) 작업
- 산업 리서치 및 네트워킹 활동
- 내부 교육 및 후배 멘토링
- 개인적인 커리어 개발 및 자기 계발
이번 글에서는 M&A 프로젝트에 투입되지 않았을 때, 회계법인 딜부서 5년 차 회계사의 하루를 타임라인 형식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AM 08:30 – 여유롭게 기상 & 출근 준비
Live 프로젝트가 진행될 때는 아침 7시부터 급박하게 움직이지만,
비투입 상태에서는 출근 시간이 상대적으로 유연합니다.
출근 전 체크 리스트
- 오늘 할 일 정리 (제안서 작업, 내부 미팅, 산업 리서치 등)
- 클라이언트 및 파트너들의 이메일 확인
- 출근 후 커피 한 잔(여유로운 하루 시작)
프로젝트 투입 vs 비투입 비교
- Live 프로젝트: 7시 30분 기상, 9시 전까지 사무실 도착 필수
- 비투입: 8시 30~9시 기상, 9시 30분쯤 출근 가능
AM 09:30 – 사무실 도착 & 뉴스 체크
M&A 업무를 하려면 시장 트렌드 및 산업 동향 파악이 필수적입니다.
아침 뉴스 체크
- M&A 거래 동향 (최근 기업 인수합병 발표, 경쟁사 동향)
- 금융시장 뉴스 (금리 변동, 경제 지표 발표 등)
- 클라이언트 관련 뉴스 (기존 고객사 및 잠재 고객사 리서치)
비투입 기간을 활용하여 산업 트렌드 및 금융시장에 대한 인사이트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M 10:00 – 제안서(Pitch Book) 작업
비투입 기간에는 새로운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제안서(Pitch Book) 작성을 합니다.
제안서 작업 주요 내용
- 인수 후보 기업 분석 (잠재적 매수자/매도자 리서치)
- 기업 재무제표 및 벤치마킹 데이터 정리
- 투자 스토리 & M&A 시너지 효과 분석
5년 차 회계사의 역할:
- 주니어(1~3년 차)들이 만든 리서치 자료를 검토하고 논리적으로 정리
- 파트너(Partner)가 클라이언트 미팅에서 사용할 자료 준비
- 제안서 논리 구조 점검 및 파워포인트(PT) 정리
프로젝트 투입 vs 비투입 비교
- Live 프로젝트: 클라이언트 실사 & 보고서 작업에 집중
- 비투입: 향후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제안서 작업
투자업 24시, 금융 직군별 실무 시뮬레이션북 - 크몽
친절한소나무 전문가의 전자책 서비스를 만나보세요. <p>사모펀드 심사역은 어떤 요소를 중점적으로 검토할까? 회계법인의 딜팀은 기업...
kmong.com
PM 12:00 – 점심
비투입 상태에서는 점심시간이 완전히 자유롭습니다.
- 프로젝트 Live일 때는 점심도 일의 연장선이지만,
- 비투입 기간에는 동료들과 여유롭게 외부 식사 가능
- 동료들과 네트워킹 (M&A 딜 진행 경험 공유)
- 후배들과 함께 점심 먹으며 멘토링
- 개인적인 일정(은행 업무, 짧은 산책 등)도 가능
프로젝트 투입 vs 비투입 비교
- Live 프로젝트: 바쁜 일정으로 점심도 업무와 함께
- 비투입: 점심시간에 개인 일정 조정 가능
PM 02:00 – 내부 교육 & 산업 분석
비투입 기간에는 자신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공부할 기회가 많습니다.
오늘의 교육 일정
- K-IFRS, M&A 법률 관련 내부 세미나 참석
- 최근 완료된 M&A 사례 분석 (기업 가치평가 모델링)
- 데이터 분석 & 금융 모델링 교육
산업 리서치 진행
- 최근 M&A 거래 트렌드 분석 (IT, 헬스케어, 반도체 등)
- 글로벌 사모펀드(PEF) 및 전략적 투자자(SI) 동향 체크
- 특정 기업의 가치평가 사례 연구
PM 04:30 – 파트너 & 클라이언트 미팅 준비
M&A 프로젝트는 새로운 고객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비투입 기간에는 파트너(Partner)와 함께 클라이언트 미팅을 준비합니다.
미팅 준비 주요 내용
- 클라이언트(PEF, 대기업) 대상 투자 제안서 업데이트
- 매수 후보 기업 리스트 정리 (M&A 타겟팅)
- 파트너가 미팅에서 논의할 주요 포인트 정리
5년 차 회계사의 역할:
- 주니어들이 만든 자료 검토 & 논리 정리
- 클라이언트 미팅에서 파트너가 사용할 데이터 준비
- 미팅 후 클라이언트 요청사항 정리
PM 06:30 – 퇴근 or 개인 공부
비투입 기간의 가장 큰 장점은 야근 없이 퇴근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Live 프로젝트일 때는 밤 12시 넘어서 퇴근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비투입 기간에는 6~7시경 퇴근 가능합니다.
- 퇴근 후 운동, 독서, 네트워킹 활동
- CFA, AICPA 등 추가 자격증 공부
- 영어 공부 (TOEIC, OPIc, 비즈니스 영어)
프로젝트 투입 vs 비투입 비교
- Live 프로젝트: 새벽까지 야근이 일상
- 비투입: 퇴근 후 개인적인 생활 가능
-------------------------------------------------
현직자의 리얼한 하루를 담은 전자책을 소개합니다.
투자업은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그림자 속의 세계'입니다.사모펀드, 기관투자자, 컨설팅사, 회계법인, 자산운용사 등 다양한 조직이 얽히고설킨 이 산업을, 겉에서만 보는 것으로는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이번에 출간한 전자책 《투자업 24시》는 그런 금융업의 실체를 궁금해하던 분들을 위해 기획된 책입니다. 실제 업무 흐름, 문서 작성, 투자검토, 내부 커뮤니케이션까지 하루 단위로 생생하게 구성했습니다. 단순한 이론 설명이 아닌 실무자 입장에서 느끼는 고민과 판단의 순간들을 가감 없이 담았습니다.
'회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법인 딜부서(M&A) 5년 차 회계사의 하루 – 프로젝트 투입 편 (0) | 2025.03.21 |
---|---|
회계법인 감사부서 5년 차 회계사의 하루 (비시즌 편) (0) | 2025.02.23 |
회계법인 감사부서 5년 차 회계사의 하루 (시즌 편) (0) | 2025.02.23 |
회계사 되는 법 총정리 – 시험 준비부터 취업까지(1차, 2차 합격률) (0) | 2025.02.23 |
회계사 vs 세무사, 어떤 직업이 더 좋을까?(연봉, 개업, 현실) (0)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