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pa 시험 준비
- 인수합병 시너지
- fmwc중계
- 인도에 투자해야하는 이유
- 재무시너지
- M&A
- EBITDA
- 연봉
- 회계사 진로
- 딜부서
- 상위호환
- 매출시너지
- 회계법인
- 회계사 파트너
- LBO
- 비용시너지
- 회계사vs세무사
- 유기적인결
- 메디트
- 딜소싱
- fmwc 실제문제
- 금융권
- fmwc랭킹
- fmwc사례
- 재무모델 대회
- 인도 투자포인트
- 회계사 커리어
- 회계
- 회계사 세무사 비교
- 사모펀드
- Today
- Total
친절한소나무의 금융이야기
[사모펀드 투어] MBK파트너스(펀드규모, 주요 포트폴리오, 연봉) 본문
MBK파트너스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독립 사모펀드(PEF) 중 하나로, 한국을 비롯한 동북아 시장에서 활발하게 투자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 홈플러스 사태로 인해 많은 언급이 되고 있는데, 오늘은 MBK파트너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보유자산
MBK파트너스는 2005년 마이클 병주 김이 설립한 이후, 경영권 인수를 중심으로 한 바이아웃(Buyout) 전략을 앞세워 소비재, 금융, 헬스케어, 미디어 등 다양한 산업에 투자해 왔습니다. 글로벌 사모펀드와 차별화되는 점은 아시아 지역에 집중된 독립 펀드로서, 지역 내 딜 소싱과 네트워크를 강점으로 내세운다는 점입니다.
아래 그래프를 보면, 왼쪽 막대는 현재 보유 중인 포트폴리오 수를, 오른쪽 막대는 엑싯(Exit)한 포트폴리오 수를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MBK파트너스가 한국, 일본, 중국 시장에 집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국내 사모펀드들은 대부분 한국 내 투자가 많은 편이지만, MBK파트너스는 일본과 중국에서도 활발한 투자를 진행할 만큼 역량을 갖춘 곳입니다.
MBK파트너스의 투자 철학은 기업의 가치를 높인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매각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하는 방식입니다. 경영권을 확보한 후 사업 구조를 개편하고, 비용 절감과 운영 효율화를 통해 기업의 수익성을 개선하는 전략을 자주 활용합니다. 이는 전통적인 성장 바이아웃(Growth Buyout) 방식의 사모펀드 운영 형태입니다.
MBK파트너스의 펀드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1호 펀드부터 5호 펀드까지 자금 조달 규모가 꾸준히 확대되었으며, 1호 펀드(15.6억 달러)에서 5호 펀드(65억 달러)까지 점진적인 성장을 이뤄냈습니다. 또한, 현재 6호 펀드는 80억 달러를 목표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기존 펀드보다 더욱 큰 규모를 계획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이외에도 MBK파트너스는 2개의 스페셜 시추에이션(Special Situation) 펀드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투자사례
대표적인 투자 사례로는 코웨이, 홈플러스, 메디트, ING생명(현 오렌지라이프) 등이 있습니다.
코웨이의 경우, 2013년 MBK파트너스가 웅진코웨이를 인수한 후 수익성 개선과 글로벌 시장 확장을 추진하였고, 2019년 넷마블에 매각하면서 높은 수익을 거둔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홈플러스 인수 역시 큰 화제가 되었습니다. MBK파트너스는 2015년 영국 테스코(Tesco)로부터 홈플러스를 인수한 후 점포 구조조정과 부동산 자산 매각을 통해 재무 구조를 개선하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구조조정 과정에서 일자리 축소와 기업 가치 훼손 논란이 제기되며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또한, 높은 거래가액과 인수금융 차입 부담, 온라인 중심으로 변화하는 소비 패턴, 그리고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인해 기업 실적이 악화+ 최근 다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메디트는 디지털 덴탈 스캐너 기업으로, MBK파트너스가 투자한 후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강화하며 기업 가치를 대폭 상승시켰습니다. 그 결과 최근 5조 원이 넘는 금액에 매각되며 성공적인 엑싯 사례로 기록되었습니다. 금융 분야에서는 ING생명을 인수한 후 오렌지라이프로 재편하고, 이를 신한금융지주에 매각하면서 높은 수익을 올린 바 있습니다.
재밌는 사실
MBK파트너스는 미국 투자회사 다이얼캐피털(Dyal Capital)에 지분 13%를 매각하며 기업 가치를 9조 원 이상으로 평가받았고, 이를 통해 10억 달러(약 1조 1,900억 원)의 투자 재원을 확보하였습니다. 다이얼캐피털은 소수 지분 투자에 특화된 사모펀드 운용사로, 이번 거래를 통해 MBK파트너스가 향후 창출할 운용 보수 및 성과 보수, 출자 회수금을 지분율만큼 공유하게 됩니다.
이 투자를 계기로 MBK파트너스는 부동산 및 그로스캐피털(Growth Capital) 투자로 영역을 확장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이는 아시아 사모펀드 운용사인 퍼시픽얼라이언스그룹(PAG)과 베어링프라이빗에쿼티(Baring Private Equity)가 과거 진행했던 소수 지분 매각 전략과 유사한 행보로 평가됩니다.
재밌는 사실 2. 배우 이혜영 씨의 남편이 MBK파트너스의 부대표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재밌는 사실 3. MBK파트너스의 초봉은 3억 이상, 5년차는 5억 이상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Private Equ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PE(사모펀드)에서 살아남기 2 : 5가지 핵심 전략/딜소싱/펀드레이징/정치 (0) | 2025.02.25 |
---|---|
PE(사모펀드)에서 살아남기 3 : 성공하는 사람들의 특징 (0) | 2025.02.25 |
PE(사모펀드)에서 살아남기 1 : 생존율이 낮은 이유/적성/경쟁/현실 (2) | 2025.02.25 |
사모펀드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 : 수익률 측면에서 (0) | 2024.10.15 |
사모펀드 인터뷰/면접 질문과 답변 : 질문 예시 다운로드 (0) | 2024.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