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딜부서
- fmwc사례
- 연봉
- 회계법인
- 회계
- LBO
- fmwc 실제문제
- EBITDA
- 재무모델 대회
- 비용시너지
- 인수합병 시너지
- 인도에 투자해야하는 이유
- 사모펀드
- 금융권
- fmwc랭킹
- 매출시너지
- 회계사 파트너
- fmwc중계
- 회계사 진로
- 회계사 세무사 비교
- 재무시너지
- 회계사vs세무사
- 회계사 커리어
- 딜소싱
- 인도 투자포인트
- 유기적인결
- 상위호환
- cpa 시험 준비
- M&A
- 메디트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7)
친절한소나무의 금융이야기
회계법인의 딜부서(Deal Advisory) 는 M&A, 기업 실사(Due Diligence), 가치평가(Valuation), 구조조정(Restructuring) 등의 프로젝트 단위로 운영됩니다.프로젝트가 Live 상태일 때는 실사 진행, 클라이언트 인터뷰, 보고서 작업 등으로 정신없이 바쁘지만,비투입 상태일 때는 상대적으로 여유로운 일상을 보낼 수 있습니다.하지만 비투입 기간이라고 해서 완전히 쉬는 것은 아닙니다.새로운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제안서(Pitch Book) 작업산업 리서치 및 네트워킹 활동내부 교육 및 후배 멘토링개인적인 커리어 개발 및 자기 계발이번 글에서는 M&A 프로젝트에 투입되지 않았을 때, 회계법인 딜부서 5년 차 회계사의 하루를 타임라인 형식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AM 08:30 ..
회계법인의 딜부서(Deal Advisory)는 기업 인수합병(M&A), 실사(Due Diligence), 기업 가치평가(Valuation), 구조조정(Restructuring)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곳입니다. 감사부서와 비교하면, 딜부서는 고객(PEF, 대기업, 사모펀드, VC 등)과 직접적인 협업이 많고, 프로젝트 기반으로 움직이는 특성이 있습니다.프로젝트가 Live(진행 중)인 경우: 실사(Due Diligence), 모델링, 보고서 작업 등으로 정신없이 바쁨프로젝트가 없는 경우: 시장 조사, 제안서 작업, 내부 트레이닝, 네트워킹 등 비교적 여유로움이번 글에서는 M&A 프로젝트가 Live 상태일 때 Big4 회계법인 딜부서 5년 차 회계사의 하루를 타임라인 형식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AM 07:30..

요즘 뉴스에서 관세 이야기가 자주 나옵니다.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다시 관세를 올리겠다고 하면서 세계 무역에 긴장감이 돌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관세가 대체 뭐길래 이렇게 시끄러운 걸까요? 이번 기회에 총 정리해보겠습니다.관세, 왜 이렇게 난리일까?관세는 나라가 수입품에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원래는 국가 재정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었지만, 지금은 국내 산업 보호와 무역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한 전략적 도구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면 중국산 제품의 가격이 올라갑니다. 그러면 미국 소비자들은 같은 제품을 더 비싼 가격에 사야 하지만, 반대로 미국 내 기업들은 값싼 중국산 제품과 경쟁할 필요가 줄어들면서 보호받게 됩니다. 단기적으로 보면 국내 기업에..

MBK파트너스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독립 사모펀드(PEF) 중 하나로, 한국을 비롯한 동북아 시장에서 활발하게 투자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 홈플러스 사태로 인해 많은 언급이 되고 있는데, 오늘은 MBK파트너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보유자산MBK파트너스는 2005년 마이클 병주 김이 설립한 이후, 경영권 인수를 중심으로 한 바이아웃(Buyout) 전략을 앞세워 소비재, 금융, 헬스케어, 미디어 등 다양한 산업에 투자해 왔습니다. 글로벌 사모펀드와 차별화되는 점은 아시아 지역에 집중된 독립 펀드로서, 지역 내 딜 소싱과 네트워크를 강점으로 내세운다는 점입니다. 아래 그래프를 보면, 왼쪽 막대는 현재 보유 중인 포트폴리오 수를, 오른쪽 막대는 엑싯(Exit)한 포트폴리오 수를 나타냅니다. 이를 ..

PE(사모펀드) 업계에서 살아남는 것은 단순한 실력의 문제가 아닙니다. 성과를 내는 것은 물론이고, 치열한 내부 경쟁을 이겨내고, 투자자와의 관계를 유지하며, 극한의 업무 강도를 버틸 수 있어야 합니다. 살아남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의 차이는 결국 전략에서 갈립니다. 이번 글에서는 PE에서 장기적으로 살아남고 승진하기 위해 반드시 갖춰야 할 다섯 가지 핵심 전략을 깊이 있게 설명하겠습니다.1. 딜 메이킹(Deal Making) 역량을 길러라: 실적이 전부다PE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투자 성과입니다. 보고서를 아무리 깔끔하게 작성하고, 논리적으로 사고한다고 해도, 결국 딜을 성사시키지 못하면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실적이 없는 사람은 조직에서 인정받기 어렵고, 자연스럽게 도태됩니다. 애널리스트나 어소시..

PE(사모펀드) 업계에서 살아남는 것도 어렵지만, 진짜 성공하는 것은 훨씬 더 어렵습니다. 많은 사람이 PE 업계에 입문하지만,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올라가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합니다. 단순히 오랫동안 버티는 것만으로는 성공할 수 없으며, PE에서 독보적인 커리어를 쌓고, 시장에서 인정받는 투자 전문가가 되려면 특정한 역량과 태도를 갖춰야 합니다. 그렇다면 PE에서 단순한 생존을 넘어, 진정한 성공을 거두는 사람들은 어떤 특징을 가질까요? 이번 글에서는 PE에서 최고의 투자자가 되기 위해 반드시 갖춰야 할 5가지 요소를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1. 시장의 흐름을 빠르게 읽고, 기회를 포착하는 사람PE에서 성공하는 사람들은 시장의 흐름을 누구보다 빠르게 읽습니다. 단순히 뉴스를 보는 것이 아니라, 시장 ..